초등학교 교사의 교과 통합형 수업에 널리 사용하는 ①다교과적(다학문적) 접근, ②간교과적(간학문적) 접근,
③탈교과적(탈학문적) 접근을 서로 어떻게 구분되는가
1. 통합수업의 3가지 유형(Drake)
①,②,③은 교육과정의 원천인 학생, 사회, 교과를 한 축으로 그리고 통합을 하는 이유인 학생학습, 교과내용습득, 사회문제해결을 다른 한 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축은 교과의 경계가 무너지는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열거될 수 있다. ①,②,③은 Drake가 제안한 통합의 유형이다.
2. 다학문적 접근
다교과적(다학문적) 접근은 사회문제해결을 주제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등을 다양한 교과에서 가져와 수업을 설계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교과 간의 논리의 유사성이나 연결의 정도가 고려되지 않으며, 각 교과의 분절적 성격이 그대로 유지된다. 다학문적 접근은 교과를 충분히 학습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용이하므로 대학과 같은 고등교육에서 주로 활용한다.
3. 간학문적 접근
간교과적(간학문적) 접근은 교과의 개념을 더욱더 심층적이고 다각도로 다루고 이해하기 위한 통합의 접근방법으로, 다교과적(다학문적) 접근보다 교과간의 유사성과 연결관계가 중시된다. 간학문적 접근을 통해 통합된 학문들이 가진 공통점을 중심으로 묶인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 경험 통합을 위해 가 교과의 정체성은 어느 정도 약화되거나 희생된다.
4. 탈학문적 접근
탈학문적 접근은 다학문적, 간학문적 접근이 교과의 논리에 기초하여 교과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연계를 도모하는 것과는 달리, 아동이 흥미를 보이는 것 자체를 중심으로 한다. 학생이 흥미를 가진 대상이라면 교과와의 연계성 또는 학문적인 구분 없이 학습의 대상으로 선정될 수 있으며,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과 교사가 함께 만들어 간다. 학생이 관심을 갖는 내용이 도중에 수업에 추가될 수도 있다. 소위 출연적 교육과정이 탈학문적 접근에서는 교육과정의 중요한 한 부분이 된다.
5. 초등학령기 학생들의 발달특성에 적합한 통합수업 유형
초등학령기 학생들의 자기 중심성,, 구체적 조작기 단계의 인지 발달 정도, 경험에 기초한 통합적 사고의 경향성 등에 비추어볼 때, 초등학교 수업에 가장 정합한 통합의 접근 방식은 탈학문적 접근이다. 탈학문적 접근의 통합 수업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학기 초 학생 관찰을 통해 학생들이 흥미를 가진 대상을 파악하고, 교육과정에 마련된 성취기준 및 핵심역량을 분석해두어야 한다. 학생의 흥미 대상을 다루면서 자연스럽게 교과의 개념에 연결될 수 있는 통합적 수업을 설계한다. 학생들은 자신의 생활세계와 교과의 세계가 분리되어 인식되지 않으며, 학생으로부터 나온 주제로 시작하여 그 주제를 자유롭게 탐구하고 표현한다.
6. 통합수업의 전체를 꿰뚫는 수업주제의 선정
초등교사가 통합적인 수업을 설계할 때 가장 중점적으로 다뤄야 하는 것은 주제 선정이다. 주제는 통합의 실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주제가 학년군의 성취기준을 잘 엮어낼 수 있는가와 학생의 흥미, 경험, 필요를 충족하는가를 모두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주제를 선정해야 한다. 이를 충족하지 못한 주제로 수업을 통합할 경우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선정한 성취기준을 다루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학생의 흥미 결여로 수업은 실시하지만 학생에게 유의미한 학습이 일어나지 않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초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과통합형 수업에서의 주제와 내용의 의미 및 둘의 관계 (1) | 2024.02.20 |
---|---|
초등학령기 아동의 인지적 발달 특성 (1) | 2024.02.13 |
초등의무교육에 있어서 강제적 학교 출석의 정당성 (1) | 2024.02.12 |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있어 인지발달은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가 (0) | 2024.02.12 |
아동 정서발달의 중요성(정서지능의 구성요소) (0) | 202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