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성이란?
사회성이란 미완성의 개인이 사회적 존재로 발달하면서 사회적 성원으로서 필요한 인성적 특성으로 타인과 더불어 공동생활하려는 성향을 의미한다. 사회성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인간 생활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신에 대한 이해, 타인에 대한 이해, 자신과 타인의 관계형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있어 인지발달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2. 피아제의 이론에서 살펴본 사회성 발달에 있어 인지발달의 역할
피아제에 의하면 0~2세는 감각운동기로서 대상에 대한 외현적 활동을 통해 세계를 이해하는 시기이다. 아기들을 관찰해보면 처음에는 자신의 손을 보고도 자신의 손인지 모르는 것처럼 움직이며, 자신의 손을 바라보고 입에 넣어 보면서 감각을 느끼며 노는 듯한 모습을 볼 수 있다. 거울을 보는 모습을 관찰해 보면12개월 전에는 거울 속에 비친 모습이 자기 자신이라는 인식을 하지 못한다. 하지만 인지능력이 발달하면서 15개월에서 24개월 정도가 되면 거울 속에 비친 모습이 자신이라는 것을 깨닫고 얼굴에 묻어 있는 것들을 만지거나 지워보는 활동을 한다. 사회성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이 인지발달에 따라 이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2~6세는 전조작기로 내재적인 사고가 가능하지만 아직까지는 자기중심적이며 물활론적인 사고를 한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는 학생들이 함께 노는 모습을 관찰해 보면 같은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있기는 하지만 서로 하는 이야기가 다른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친구와 서로 상호작용한다고 보기 어렵다. 자기중심적인 사고와 행동을 하기 때문에 양보, 배려 등의 친사회적 행동을 보이기는 어려운 시기이다. 6~12세는 구체적 조작기로 자기중심적이며 물활론적인 사고를 넘어서 탈중심적 사고가 가능한 시기이다. 이제 나와 다른 타인을 인식하고 타인의 감정과 사고의 관점이 나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신경 쓰게 된다. 이는 인지발달이 사회성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타인에 대한 인식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을 알 수 있다. 6~12세는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생활하는 시기로 이전에는 경험해보지 못한 학급이라는 더 큰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자신이 지켜야 할 생활수칙에는 무엇이 있는지 학습하게 되고, 이를 지켜서 생활하는 것이 친사회적인 행동이며, 이를 어기는 행동은 여러 사람에게 피해를 주고 자신 또한 피해를 받을 수 있는 반사회적 행동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3. 비고츠키의 이론에서 살펴본 사회성 발다레 있어 인지발달의 역할
피아제는 아동이 스스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도식을 형성하고 세계를 이해하는 존재라고 생각했지만, 비고츠키는 아동이 타인과의 관계에서 영향을 받으며 성장하는 사회적 존재임을 강조하였다. 특히 비고츠키는 아동이 적절한 시기에 교사나 뛰어난 동료에 의해 자극을 받아 인지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근접발달영역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뛰어난 성취를 보이는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의 이해정도, 감정 상태, 학습 동기 등을 파악하여 적절한 비계를 형성해 도움을 주는 행동은 인지발달을 통해 획득한 사회적 능력을 갖춰야만 실행할 수 있는 행동이다. 자신이 잘 모르는 것을 인지하고 배우고 싶다는 동기를 가지며, 배울만한 뛰어난 동료를 탐색하고 예의를 갖춰 도움을 청하는 행동 또한 그에 맞는 수준의 인지능력과 사회성을 갖춰야만 할 수 있는 행동이다.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의 발달이 인지발달을 촉진하는 것에 큰 영향을 주며, 이를 통해 발달한 인지능력이 또한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것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4. 사회성 발달과 인지발달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
요약하면 사회성 발달과 인지발달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인지 발달은 사회성 발달의 전제조건인 자신에 대한 인식, 타인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전적인 필수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의 인지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개념은 인지발달이 사회성의 또 다른 구성요소인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동의 인지발달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촉진함으로써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증진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초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령기 아동의 인지적 발달 특성 (1) | 2024.02.13 |
---|---|
초등의무교육에 있어서 강제적 학교 출석의 정당성 (1) | 2024.02.12 |
아동 정서발달의 중요성(정서지능의 구성요소) (0) | 2024.02.06 |
교사수준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할 경우 그것이 주로 통합교육과정의 형태를 띠는 이유(2) (0) | 2024.02.05 |
교사수준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할 경우 그것이 주로 통합교육과정의 형태를 띠는 이유(1) (1) | 2024.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