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교육

교과통합형 수업에서의 주제와 내용의 의미 및 둘의 관계

by 급궁금급궁금 2024. 2. 20.

1. 초등학령기 학생들의 발달 특성

 초등학령기 학생들의 발달 특성을 살펴보면 구체적인 사물을 활용하여 가역적 사고가 가능해지며 자기중심적인 사고의 경향성을 지녀 자신의 경험 속에서 대상 및 현상을 이해하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초등학령기 학생들은 분과적으로 세상을 이해하지 못하며, 자신이 직면한 어려움, 호기심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신이 가진 다양한 경험, 능력 등을 총동원한다. 이러한 발생학습기술적 특성과 맞닿은 통합적 접근의 수업이 초등학령기 학생 대상의 수업에 적합하다.

 

2. 수업의 중심이 되는 '주제'

 이러한 이유에서 초등교사들은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교과들을 통합한 교과통합형 수업을 고안하여 실행하게 된다. 이를 주제중심통합수업이라고 하는데, 수업의 중심이 되는 주제는 실에 비유할 수 있다. 수업의 주제는 초등학령기 학생의 발달적 특성에 적합한, 학생의 흥미, 경험, 필요에 부합하는 배움에 초점이 되는 현상이나 문제상황을 의미한다.

 주제는 수업의 초점이 되기 때문에 학생들이 일주일, 한 달, 또는 한 학기 동안 교실에서 공부하게 되는 모든 학습활동의 기준이 된다. 학습의 이정표 역할을 하는 수업의 주제가 학생들과 잘 맞지 않는 것으로 선정이 되면 해당 주제를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할 그 기간이 학생들에게 유의미하지 않은 활동으로 남을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학생의 흥미, 경험, 필요에 부합한 주제를 선정하는 일은 교사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다.

 

3. 역량을 습득하기 위한 경험인 '내용'

 주제에서 제시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 지식, 태도 등을 학생이 경험하여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수업자료를 교사들이 마련하게 되는데 이를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내용은 구슬에 비유할 수 있다. 내용은 각 교과의 성취기준에서 끌어올 수 있으며, 비록 교과성취기준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범교과적인 관점에서 수업자의 판단아래 핵심역량을 습득하는 데 필요한 경험이라고 여겨지는 것들을 내용으로 마련할 수 있다.

내용은 마치 퀘스트처럼 주제에서 선정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거쳐가야 하는 관문이라고 할 수 있다. 각각의 퀘스트를 클리어하면 최종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것처럼, 각 내용을 섭렵하면 주제에서 제시한 어려움이나 호기심 등을 해결할 단서들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내용들을 단계별로 잘 조직하는 일 또한 교사에게 맡겨진 중요한 일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4. 교과통합형 수업 구안을 위한 교사전문성

 요컨대 주제중심 통합수업은 주제라는 실로 내용이라는 구슬을 꿰어 만든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초등교사는 학생의 발달 특성을 이해하고, 학생들을 둘러싼 지역사회의 분석, 전 세계적으로 쟁점이 되고 있는 사안들에 대한 분석, 활용가능자원(예산, 학부모, 지역사회인사 등) 파악, 교사 자신이 실현 가능한 수업 장면 파악을 통해 초등학령기 학생에게 유의미한 배움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주제와 내용을 선정할 수 있는 안목을 구비해야 한다. 이것이야말로 초등교사의 전문성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