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적 수업설계의 유형
초등학교 교사의 교과 통합형 수업에 널리 사용하는 ①다교과적(다학문적) 접근, ②간교과적(간학문적) 접근, ③탈교과적(탈학문적) 접근을 서로 어떻게 구분되는가 1. 통합수업의 3가지 유형(Drake) ①,②,③은 교육과정의 원천인 학생, 사회, 교과를 한 축으로 그리고 통합을 하는 이유인 학생학습, 교과내용습득, 사회문제해결을 다른 한 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축은 교과의 경계가 무너지는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열거될 수 있다. ①,②,③은 Drake가 제안한 통합의 유형이다. 2. 다학문적 접근 다교과적(다학문적) 접근은 사회문제해결을 주제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등을 다양한 교과에서 가져와 수업을 설계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교과 간의 논리의 유사성이나 연결의 정도가 고려되지..
2024. 2. 15.
초등교육의 정체성 논의(2022 개정교육과정)
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되고 있는 교육이념과 목적 우리나라의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자신의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 생활능력과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추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고, 민주 국가의 발전과 인류공영의 이상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은 자기 주도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교양있는 사람, 더불어 사는 사람이며 이러한 인간상을 실현하기 위해 갖줘야하는 핵심역량으로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협력적 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을 설정하고 있다. 2. 초등학교의 교육목표 초등학교 교육은 학생의 일상생활과 학습에 필요한 기본 습관과 기초 능력을 기르고..
2024. 2. 3.